너무 강한가?
성찬이를 사랑 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힘들어.
아직은 네가 너무 작고 어려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수용하고 배려할 줄을 모른다는 것을 잘 알아. 오늘도 창문 밖으로 물건을 던지고 아무렇지 않게 웃고 있길래 엉덩이를 한 대 때려줬다가 아빠가 그냥 뒤로 물러설 수밖에 없었어. 아직 네가 모른다는 것을 아니까.
네 감정만 다칠 뿐 아무런 교육적 소득이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야.
성찬이 입장에서는 아주 억울할 거 같구나.
이제 고작 세상에 나온 지 2년이 지났을 뿐인데..
엄마나 아빠는 너에게 계속 더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는 거 같아.
그러게.. 성찬이가 그냥 걷지도 못하고 아빠가 안아주고 한 시간이고 두 시간이고 그 상태로도 끄떡없을 정도로 작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이기적인 생각을 했단다.
성찬이는 아직도 많은 사랑을 받아야 하는데..
갓 태어났을 때 마냥 모든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관심받아야 하는데,
이제는 호기심이란 자신의 본능을 주체 못 하는 것일 뿐이지만, 고작 1년 전에
받던 대우하고는 너무 많이 틀려진 것이 아닌가 해서 마음이 짠하다.
가여운 녀석..
아빠한테 한대 쥐어 맞고서도 또 한동안 시간이 지나면 아빠~! 하고 부르면서 달려오는 너를 어떻게 미워할 수 있을까?
아빠가 생각하는 네 당면 과제는
1. 숟가락 사용해서 밥 먹기
2. 먹던 음식 던지지 말기.
3. 오줌 아무 데나 싸지 말기.
4. 베란다 너머로 물건 던지지 말기.
이 정도인 거 같다. 아주 많은 것을 바라는 것도 아니잖아?
아빠는 아무리 재택근무를 한다고 해도 하루 몇 시간 정도는 밖에서 생활을 해야 하는데,
엄마랑 성찬이 둘만 남겨졌을 때, 엄마는 마냥 TV만 보는 것은 아닌지 많이 걱정된단다.
밥 먹는 습관도 아직 들여지지 않아서 아빠가 미안하기도 하고.
며칠인가 너에게 심하게 엉덩이를 때리고 소리를 질렀던 적이 있단다.
그리고 바로 그 후부터는 감정이 상하는 느낌이 어떤 것인지 강하게 와 닿은 게 있어서
절대 엉덩이를 때리지 않겠다고 스스로 맹세하고 옳지 않다고 반성에 반성을 했지만,
감정이 심하게 휩쓸릴 때가 있어. 네 엄마를 볼 때.. 예를 들면 오늘 아침에도 아빠가 베란다로 통하는 창문의 문을 잠갔는데, 엄마는 덥다고 다시 열었고, 스마트폰에 코를 박고 있다가 네가 공룡 두 마리를 밖으로 던지는 것을 주의 깊게 살피지 못했거든..
엄마가 섬세하지 못한 것이 아빠는 성찬이에게 가장 미안한 것 중에 하나란다.
섬세하게 성찬이의 감정을 읽고 필요한 부분들을 이해해 줄 수 있다면 정말 최고의 엄마가 될 텐데.. 자신의 남편과 아기에게 조차도 이기적인 엄마의 모습을 볼 때가 종종 있단다.
그래서 엄마 때문에 화가 나는 일이 있을 때, 네가 발단이 됐기 때문에 성찬이에게 화풀이하듯 훈육(?)을 하게 된 거고.
휴~~~
어제는 엄마는 쇼핑몰 안에 너랑 아빠만 남겨두고 홀랑 3시간도 넘는 시간을 안마받으러 갔었는데..
밖에는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가 오랫동안 내렸었어.
그만하자..
내가 너랑 엄마만을 남겨두고 밖에 나와서 일 이외에 다른 일 할 때도 많이 있으니까..
자.. 마무리를 하면
성찬이는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야.
많이 부족하지만, 아빠가 많이 노력할게..
사랑한다 성찬아.. 아주 많이.. ^^*
<2014. 6. 21 성찬이 만 2살 때 작성글>
아이가 많이 보고 싶어요.
지금 아이는 저와 떨어져서 엄마와 중국 광둥 성에서 살고 있습니다.
지나서 생각해 보면 아무것도 아닌 주변 상황 때문에 아이에게 짜증을 내고 기다려주지 못했던 거 같습니다.
아이는 말도 늦었고 걷는 것도 늦었습니다. 위에 적어 놓은 당면 과제도 우습네요. 그때는 저 혼자 생각에 많이 심각했나 봐요.
아빠의 엄마의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는 아이들이 대부분 그런데, 그것을 알면서도 조바심이 났어요.
말을 중국어도 한국어도 또래만큼 하지 못해서, 밥을 충분히 안 먹어서, 언제까지 안아줘야 할지 몰라서...
그냥 기다리는 게 답인데, 부모의 마음은 항상 조바심으로 가득합니다.
아이를 키우는 것은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 것과 같다는 생각을 종종 했어요.
아이에 대한 믿음을 아이를 보고 있을 때 생기는 게 아니라 내 어린 시절을 떠올려보면서 생각해 보는 게 더 좋을 거 같습니다. 제 스스로도 2살 때의 기억은 없지만 어느 정도 사리분별을 하게 됐을 때 넌 왜 못하니? 하는 표정의 어른들의 표정이 상처로 남아서 아직도 머리에 남아있습니다.
기다려주세요. 밥 안 먹던 아이가 밥을 잔뜩 먹고, 안아달라던 아이가 더 이상 보채지 않아서 반대로 제가 더 서운해지고, 걱정하지 말고 기다리면 아이는 알아서 커주더군요. 조바심 내는 엄마 아빠의 마음이 항상 문제입니다.
아이는 기다려주면 기대에 보답하고 예전의 근심거리들이 문제였었나?라고 생각들 정도로 부모의 기대에 부응했습니다.
하지만 아내는 그렇지 않더군요.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성 공황장애와 우울증, 남이보는 나와 내 존재의 거리 (0) | 2020.05.19 |
---|---|
유아 파닉스? 영어공부 시켜야 할까? 외국어 교육에 대한 생각 (0) | 2020.03.14 |
우리 강아지, 아이와 함께 시간보내기 (0) | 2020.02.23 |
오늘 있었던 일, 아이를 지켜봐 주세요 (0) | 2020.02.23 |
댓글